앉았다 일어날 때 어지러움? 기립성 저혈압일 수 있어요
의자에 앉아 있다가 갑자기 일어날 때 눈앞이 깜깜해지거나 어지러워서 휘청거린 경험, 누구나 한 번쯤은 겪어보셨을 겁니다. 보통은 금방 괜찮아지지만, 반복된다면 기립성 저혈압이라는 순환계 이상일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기립성 저혈압의 원인, 증상, 진단 방법, 일상 속 관리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.
1. 기립성 저혈압이란?
기립성 저혈압(Orthostatic Hypotension)은 앉거나 누운 자세에서 일어설 때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입니다. 이로 인해 뇌로 가는 혈류가 일시적으로 부족해지며 어지럼증, 실신, 시야 흐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2.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?
- 자세를 바꿀 때(앉았다가 일어설 때) 어지러움
- 눈앞이 흐려지거나 깜깜해짐
- 일시적인 이명(귀 울림)
- 손발이 차고 식은땀
- 심할 경우 실신
3. 기립성 저혈압의 원인
기립성 저혈압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:
- 자율신경계 이상: 혈압 조절 기능 저하 (파킨슨병, 당뇨 합병증 등)
- 약물 부작용: 고혈압약, 이뇨제, 항우울제 등
- 탈수: 수분 부족으로 인한 혈액량 감소
- 기저 질환: 심부전, 부정맥, 부신 기능 저하증 등
특히 고령자에서 흔하게 나타나며, 만성 질환을 가진 사람도 주의가 필요합니다.
4. 진단은 어떻게 하나요?
혈압 측정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 다음 기준을 만족하면 기립성 저혈압으로 진단됩니다:
- 기립 후 3분 이내에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상 감소
- 또는 이완기 혈압이 10mmHg 이상 감소
병원에서는 앉은 상태와 선 상태에서 혈압을 반복 측정하거나, 기립경사 검사(tilt table test)를 통해 자율신경 반응을 확인하기도 합니다.
5. 일상에서 어떻게 관리할 수 있을까?
- 일어날 때는 천천히 자세 바꾸기 (10초 이상 앉았다 일어나기)
- 충분한 수분 섭취 (하루 1.5~2L)
- 소금 섭취 제한이 없다면 약간 늘리기
- 식후 졸림 방지: 식사는 소량씩 자주
- 탄력 스타킹 착용: 하지 정맥의 혈류 정체 예방
- 무더운 환경, 과음 피하기
6.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?
다음과 같은 상황이라면 병원을 방문해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:
- 어지럼증이 자주 반복되거나 일상에 지장을 줌
- 실신하거나 낙상 위험이 있는 경우
- 고혈압약, 이뇨제 등 복용 중인 약물이 원인으로 의심되는 경우
- 신경계 또는 심혈관계 질환이 의심될 때
약물 조절, 체액 조절, 자율신경계 평가 등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7. 결론
기립성 저혈압은 단순한 현기증이 아닌, 몸의 순환기계 이상을 알려주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. 특히 반복되는 어지럼증이나 실신은 낙상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, 증상이 잦다면 반드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.
일상에서의 작은 변화가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. 천천히, 부드럽게 움직이기부터 시작해 보세요.
